전경사전

본문 바로가기

경전

주요경전 훈시 사전
전경사전
HOME   >  경전   >   사전   >   전경사전  

전경사전

사관

사관(舍館) = 하숙(下宿) 用例) 사관을 잡다/내일 일찍이 내려가서 제각기 사관을 정하자. 한 사관에 두 사람 혹은 세 사람씩 묵도록 하고…. ≪김동인, 젊은 그들≫ 하숙(下宿) ① 일정한 방세와 식비를 내고 남의 집에 머물면서 숙식함. 또는 그런 집 ② 값싼 하급 여관 ꄵ 자취(自炊) 用例) 하숙을 구하다/하숙을 치다/은행에 취직이 되면서부터 윤구는 하숙을 얻어 나와 자립 생활을 시작했다.≪황순원, 나무들 비탈에 서다≫/그는 새로운 출발의 첫걸음으로 환경을 바꾸기 위하여 조용한 하숙으로 거처를 옮겼다

사기

흙을 원료로 하여서 구워 만든 그릇 1.사기(沙器/砂器) : [명] = 사기그릇. 세상 사람들은 흔히 사기를 굽는 비법이나 숨은 이치가 따로 숨어져 있는 줄 알지만….≪이청준, 불을 머금은 항아리≫사기 접시를 죽으로 엎칠 것 같다 한 죽이나 되는 많은 사기 접시를 단번에 엎어서 깰 것같이 야단이라는 뜻으로, 당장 어떤 큰일을 치를 듯이 들볶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그릇 : [명] 흙을 원료로 하여서 구워 만든 그릇. = 사그릇 • • 자기(瓷器).(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연구원, ㈜두산동아, 2000)

사두 용미

글자적인 뜻은 뱀 머리에 용꼬리이다. 이 말은 용두사미(龍頭蛇尾)에 반대되는 용어로 쓰였는데, 시작은 보잘 것 없지만 일이 진행되어 갈수록 크고 훌륭해진다는 뜻을 나타낸다. ◈EnCyber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용두사미(龍頭蛇尾) 이 말은 송(宋)나라 사람 환오극근이 쓴《벽암록》에 나온다.육주(陸州)에 세워진 용흥사(龍興寺)에는 이름난 스님인 진존숙(陳尊宿)이 있었다. 그는 도를 깨치러 절을 떠나 여기저기 방랑하면서 나그네를 위해서 짚신을 삼아 길에 걸어 두고 다녔다고 한다. 진존숙이 나이 들었을 때의 일이다.

사략

중국 남송(南宋) 말에서 원(元)나라 초에 걸쳐 활약했던 증선지(曾先之)가 편찬한 중국의 역사서.원명은 《고금역대 십팔(古今歷代十八史略)》이다. 《사기(史記)》 《한서(漢書)》에서 시작하여 《신오대사(新五代史)》에 이르는 17종의 정사(正史), 송대(宋代)의 《속송편년자치통감(續宋編年資治通鑑)》 《속송중흥편년자치통감(續宋中興編年資治通鑑)》 등 사료(史料)를 첨가한 십팔사(十八史)의 사료 중에서, 태고(太古) 때부터 송나라 말까지의 사실(史實)을 발서(拔書)하여 초학자를 위한 초보적 역사교과서로 편찬하였다. 원

사명기

사명기(司命旗) 1. 조선시대 군대의 각 영(營)에서 대장(大將), 유수(留守), 순찰사, 절도사, 통제사가 등이 휘하 군대를 지휘하는 데 사용한 군기(軍旗) 사명기(司命旗) : ꃃ ①〖민속〗제주 무당들이 신이 내리기를 빌 때에 쓰는 기. ≒사명. ②[역사] 조선시대에, 각 군영(軍營)의 대장(大將), 유수(留守), 순찰사, 통제사가 휘하의 군대를 지휘하는 데에 쓰던 군기(軍旗). 기의 바탕 색깔은 각 대장의 방위에 따라 다르며, 가운데에는 진영의 이름에 따라 "○軍司命"이라고 썼고, 오색 비단의 드림과 영

사문

전주부성(全州府城)의 동서남북에 있던 네 개의 문 참고 문헌 ◈ 『한국의 풍수사상』, 최창조, 1996, 민음사, pp265~266 전주부성(全州府城)은 조선초기에 도관찰사 최유경에 의해 축조된 것으로 그후 1734(영조 10)년 조현명에 의해 개축된다.『 전주부성(全州府城) 오늘날 없어졌으나 그 윤곽은 대체로 현재의 중앙동우체국을 중심으로 반경 약 500m의 원형에 근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문(東門)은 현재의 동문사거리이며 이곳에서 경기전(慶基殿)을 안쪽으로 끼고 성곽을 축조, 현존하는 풍남문(豊南門)에

사물탕

숙지황(熟地黃)ㆍ백작약(白芍藥)ㆍ천궁(川芎)ㆍ당귀(當歸)를 넣어서 달여 만드는 탕약. 혈(血)과 관련된 병에 처방되는 이 사물탕은 한방처방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사사

스승으로 섬김. 또는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음.

사설

그릇되고 간사한 말. 또는 올바르지 않은 논설.

사옥소리

형옥(刑獄)에 관한 일을 맡은 하급 관리.

12345678910

(12616)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 882     전화 : 031-887-9301 (교무부)     팩스 : 031-887-9345
Copyright ⓒ 2016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